[해외선물] 박스권 등락의 메커니즘
S자형 박스 : 100틱 이상 큰 박스권 등락
언제 주로 발생하나?
① 상승박스 : 정배열 진행 중 전날 역추세 급락이 나온 경우...상승박스가 예정된 날 23시 이전 이미 100틱 이상 상승 중인 경우 일단 당일저점 까지 후려친 후 재차 걷어올린다.
② 하락박스 : 역배열 진행 중 전날 역추세 급등이 나온 경우...하락박스가 예정된 날 23시 이전 이미 100틱 이상 하락 중인 경우 일단 당일고점 까지 올려친 후 재차 걷어내린다.
박스권등락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서는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는 건 불가능합니다.
박스권 등락장은 언제 왜 나오는가?
추세반전은 어떻게 포착하는가?
정확하게 알고 매매를 하면 심리적 혼란에 빠져들 이유가 없습니다. 잦은 손절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챠트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모르고서는 따라다니면서 실전대응을 정밀하게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큰 흐름을 보지 못하고 현상 만으로 챠트를 보면 개인들은 늘 틀린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시장이 그렇게 만드니까요...
'해외선물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선물 매매기법] 종일 박스시그널 포착방법 (0) | 2019.09.04 |
---|---|
[해외선물매매] S&P 및 크로드오일, 골드 상관관계 (0) | 2019.09.04 |
[해외선물] 해외선물매매기법 동영상강의 (0) | 2018.10.09 |
[해외선물매매기법]소박스 후 일방적상승과 일방적하락 (0) | 2018.09.21 |
12.19(월) [해외선물] 크루드오일 복기 및 익일전략 (0) | 201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