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가요계 3대 트렌드 전망
[OSEN=이혜린의 스타라떼] 2014년 가요계는 그룹에서 솔로로, 댄스/발라드에서 힙합/어쿠스틱으로, 아이돌에서 싱어송라이터로 무게 중심이 옮겨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내년 가요계는 이같은 트렌드를 이어가면서 싱어송 라이터와 '작곡돌'의 활약이 보다 더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작자로 나선 가요계 유명인사들의 치열한 경쟁과 업계 깊숙히 들어온 중국 자본의 영향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2015년 가요계 3대 트렌드 전망, 싱어송라이터 시대 [사진 : 그룹 '위너']
01. 싱어송라이터의 시대 열린다
개성 강한 뮤지션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더 뜨거워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는 기존 아이돌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지드래곤을 잇는 다양한 싱어송라이터들을 탄생시킬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음원차트서 정상급 활약을 보인 두 그룹, 비스트와 블락비가 모두 용준형, 지코라는 자체 프로듀싱 실력을 갖춘 건 우연이 아니라는 분석. 씨엔블루의 정용화, B1A4의 진영도 그룹의 음악을 진두지휘하며 아이돌이 아닌 뮤지션으로 인정받고 있다.
차기 주자들도 자체 프로듀싱에 힘을 쏟고 있다. 정상급 도약을 앞둔 그룹들은 기존 잠재력이 있는 멤버들에게 작곡과 관련한 기회를 최대한 주고자 노력하고 있는 상황. 데뷔를 앞둔 한 신예그룹은 멤버들의 작곡 실력을 확인한 후 기존 퍼포먼스 중심 기획에서 뮤지션으로의 행보로 기획을 수정하기도 했다.
내년 최고 루키로 꼽히고 있는 신예가 YG엔터테인먼트의 바비라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 벌써 '자기 얘기를 할 줄 아는' 래퍼로 촉망받는 그는 각종 피처링 곡, 방송 출연곡으로 음원차트를 휩쓰는 등 범상치 않은 신예 싱어송라이터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2015년 가요계 3대 트렌드 전망, 스타제작자 경쟁
02. 3대 대형기획사? 스타 제작자 경쟁 뜨거워진다
SM, YG, JYP의 압도적인 인지도에 도전장을 낼 기획사가 다수 생길 것으로 보인다. 상장에 성공한 FNC엔터테인먼트와 비스트, 포미닛 등 인기그룹을 다수 보유한 큐브엔터테인먼트가 브랜드 알리기에 고심할 전망. 또 톡톡 튀는 기획으로 막강한 음원파워를 지닌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대형 오디션을 개최하는 등 홍보 스케일도 커질 예정이다.
힙합도 '기획사 시스템'으로 완전히 안착할 전망. 힙합의 두 명가 아메바 컬쳐와 브랜뉴뮤직이 기존 스타 뿐 아니라 다수의 신인을 내세우며 '시스템으로서의 힙합'을 인정받을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아이돌 시장을 끌어오다시피한 용감한 형제가 일레트로닉 음악의 '종말'을 예견하고 있는 것도 의미심장한 부분. 일레트로닉 댄스 음악의 유행을 촉발시킨 그는 내년 댄스 음악의 흐름이 완전히 바뀔 것을 예상하고 완전히 다른 장르의 3인조 새 댄스그룹을 준비 중이다.
제작자로 새롭게 뛰어드는 신승훈의 성과에도 관심이 쏠리며, 기존 제작자로 첫발을 뗀 윤종신, 조피디, 김도훈 작곡가 등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릴 전망.
2015년 가요계 3대 트렌드 전망, 중국발 자본유입
03. 중국발 자본, 대거 들어온다
이미 세계적인 대형 기획사를 모두 압도할만한 규모를 갖춘 중국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비교적 '기술'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하는 국내 엔터테인먼트사에 손을 내미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배우와 아이돌그룹을 시작으로, 영화 감독, 드라마 감독, 예능 출연진 등이 중국으로 넘어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이 기존 MOU 수준이 아니라 아예 국내 엔터테인먼트에 직접적인 투자를 하면서 제작 노하우를 보다 더 많이 공유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국내 성공한 거의 모든 기획사가 중국 측과 미팅을 가져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태. 아이돌그룹 공동 제작은 기본, 드라마-영화 제작, 부가 사업까지 사업 모델은 다양하다.
슈퍼주니어를 탈퇴하고 중국으로 돌아간 한경이 갑자기 SM에 대한 좋은 멘트를 하거나, 엑소의 크리스와 루한이 그룹을 탈퇴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쉽게 대형기획사에 안착하지 못하는 것도, 한국과의 사업 추진을 염두에 둔 현지 분위기 탓이라는 풀이도 있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일본발 자본이 50억, 100억원 단위로 들어와 업계 관심을 끌었으나, 내년에는 중국 시장과 자본이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